[과학을 품다] 급성 췌장염…치료방법 찾았다
상태바
[과학을 품다] 급성 췌장염…치료방법 찾았다
  • 정종오 기자
  • 승인 2019.09.29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연구팀, 칼슘 신호 조절 통한 급성 췌장염 치료 표적 제시
소포체에 칼슘이온(Ca2+)이 고갈되면 소포체 막에 있는 Stim1과 세포막에 있는 Orai1이 각각 모인다. 서로 결합하면서 칼슘이온 통로가 열린다. 세포 안으로 칼슘이온 유입이 시작된다. 과도한 칼슘이온 유입을 멈추기 위해 SARAF가 Stim1과 결합한다.[사진=한국연구재단]
소포체에 칼슘이온(Ca2+)이 고갈되면 소포체 막에 있는 Stim1과 세포막에 있는 Orai1이 각각 모인다. 서로 결합하면서 칼슘이온 통로가 열린다. 세포 안으로 칼슘이온 유입이 시작된다. 과도한 칼슘이온 유입을 멈추기 위해 SARAF가 Stim1과 결합한다.[사진=한국연구재단]

급성 췌장염이 발생하는 원리가 밝혀졌다. 마땅한 치료제가 없어 통증 완화로 대처해 왔는데 앞으로 관련 치료제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신동민 교수(연세대) 연구팀과 미국 국립보건원 등이 참여하는 공동연구진이 급성 췌장염 진행 과정에서 칼슘 신호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SARAF) 역할을 규명했다고 29일 발표했다.

췌장 샘꽈리 세포에서 분비하는 여러 소화효소가 소장 등으로 분비되기 전에 세포질 내에서 활성화되면 세포 스스로를 분해시키면서 급성 췌장염이 일어난다. 췌장 샘꽈리세포 안으로 칼슘이온이 지나치게 유입되면 칼슘 자체의 독성에 의해 세포가 파괴된다. 이어 세포 내 소화효소가 따로 떨어져 췌장염이 발생한다. 특별한 치료제가 없어 통증 완화 치료가 대부분 이뤄진다.

그동안 연구에서는 칼슘이온 통로(Orai1)를 없애 칼슘이온 유입을 막으면 췌장염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었다. 부작용이 뒤따랐다. 칼슘이온 통로가 없는 생쥐모델의 경우 췌장 내 미생물총이 크게 영향을 받는 등 치명적 부작용으로 치료제 개발에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칼슘이온 통로 자체가 아닌 통로 개폐에 관여하는 단백질에 주목했다. 급성 췌장염에서 조직 손상을 막는 단백질 ‘SARAF’가 분해돼 사라지는 것을 알아냈다. 쌤꽈리세포에서 SARAF가 분해되지 않도록 단백질을 안정화하거나 다시 보충해줄 수 있는 전략이 췌장염 치료제 개발 실마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췌장염 환자의 생검샘플에서 SARAF 유전자 발현량이 감소했다. 실제 칼슘이온 통로 개폐조절 단백질(SARAF)이 만들어지지 않는 생쥐에 급성 췌장염을 유도한 결과 SARAF를 많이 만들어내는 생쥐에 비교해 췌장염 진행 정도가 더 심각했다.

신동민 교수는 “칼슘 신호 조절을 통해 췌장염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며 “치료제가 미비했던 췌장염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소화기 분야 국제학술지 ‘가스트로엔테오로지(Gastroenterology)’ 9월4일자(논문명 : Ca2+ Influx Channel Inhibitor SARAF Protects Mice From Acute Pancreatitis)에 실렸다.

정종오 기자  science@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