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 송출수수료 급격 인상에 TV홈쇼핑 공멸 위기감 고조
상태바
IPTV 송출수수료 급격 인상에 TV홈쇼핑 공멸 위기감 고조
  • 양현석 기자
  • 승인 2019.09.26 17: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KB·LGU+의 SO 합병으로 '슈퍼 甲' 탄생... ‘안전장치 마련해야’
"5G 초기 투자비용, 홈쇼핑송출수수료 인상으로 마련하나" 불만도
유료방송사의 방송매출 대비 홈쇼핑송출수수료매출 현황[자료=방송통신위원회]. 10년간 홈쇼핑송출수수료 연평균상승률(CAGR)이 SO는 7.8%인데 반해, IPTV는 45.5%에 달한다.
유료방송사의 방송매출 대비 홈쇼핑송출수수료매출 현황[자료=방송통신위원회]. 10년간 홈쇼핑송출수수료 연평균상승률(CAGR)이 SO는 7.8%인데 반해, IPTV는 45.5%에 달한다.

 

유료방송 사업자의 주류가 된 IPTV 3사의 홈쇼핑송출수수료가 가파르게 인상되면서 TV홈쇼핑 업계가 공멸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26일 홈쇼핑업계에 따르면, 올해 IPTV와 TV홈쇼핑 업계는 KT를 시작으로 송출수수료 계약을 체결 중에 있다. IPTV 중 가장 시장 점유율이 높은 KT는 계약이 모두 체결됐고, SK는 체결 중에 있으며, LG와는 계약을 아직 체결하지 못한 상태다.

그러나 KT 등 IPTV 사업자들은 올해에도 20% 이상의 송출수수료 인상을 요구하면서 영업이익 1~2%대에 그치고 있는 홈쇼핑 사업자들에게 큰 근심이 되고 있다.

과거부터 과도한 송출수수료 문제는 늘 문제가 됐지만 올해는 SO(종합유선방송)보다 전체 유료방송 시장의 점유율을 높이기 시작한 IPTV가 너무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는 것이 홈쇼핑 업계 전체의 시각이다.

올해 6월 방송통신위원회가 발간한 ‘2018년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집’에 따르면, IPTV의 2018년 매출은 전년에 비해 수신료 매출 증가가 2429억원(12.2%)에 그친 반면, 홈쇼핑송출수수료 매출은 2237억원(45.7%) 늘어날 정도로 IPTV의 송출수수료 수입은 높아만 가고 있다.

이에 더해 올해에는 SK가 티브로드를, LG가 CJ헬로를 인수하면서 IPTV의 우월적 지위가 더욱 확고해지고 있다. 실제로 유료방송 시장에서 IPTV인 KT가 21%대, SK브로드밴드가 14%대, LG유플러스가 약 12%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여기에 9.6% 시장점유율인 티브로드가 SK에, 12.6%의 CJ헬로가 LG로 인수되면 IPTV 3사는 전체 유료방송 시장의 70%를 점유하는 절대 강자가 된다.

이렇게 될 경우 홈쇼핑 업계는 사실상 송출수수료 협상에서 협상력을 상실하게 되고, IPTV 사업자의 의도대로 계약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 공정거래위원회가 이번 인수 합병을 승인할 때 이에 대한 안전장치를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올해 송출수수료 협상이 이미 체결된 KT와의 계약과 유사하게 진행될 경우 홈쇼핑 기업들은 지난해보다 20% 이상 오른 수수료를 부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1000원의 제품을 팔면 32원의 이익을 본다는 홈쇼핑 기업의 영업구조에 큰 타격이 될 전망이다.

한국TV홈쇼핑협회에 따르면, 현재 홈쇼핑 판매 수익 구조는 상품가격을 1000원으로 가정할 시 그중 713원은 협력업체의 몫이고, 153원이 송출수수료, 102원이 물류 등 제 비용으로 홈쇼핑사의 이익은 32원에 그친다고 보고 있다.

홈쇼핑 업계는 송출수수료의 인상은 곧 협력사 판매수수료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토로한다. 또 이는 곧 중소기업이 대부분인 협력사의 부담 증가와 소비자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이런 악순환이 반복되면 지금도 온라인 쇼핑에 밀려 고전 중인 홈쇼핑 산업 전체의 공멸로 가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지적한다.

일부 홈쇼핑 사업자들은 통신사업자로 이뤄진 IPTV 3사의 과도한 홈쇼핑송출수수료 인상의 배경에 “5G 망 구축 투자금을 송출수수료로 충당하려는 것이 아닌가”하는 의심까지 품고 있기도 하다.

홈쇼핑 업계는 IPTV의 유력 SO 흡수로 인한 슈퍼 갑(甲) 탄생을 가장 걱정하고 있다. 따라서 심사기관인 공정위가 인수 합병 승인 시 최소한 우월적 지위에 따른 불합리한 송출수수료 인상을 억제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반드시 마련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양현석 기자  market@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