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강화 대책에도 ESS 화재…원인 특정하지 못해 더 불안
상태바
안전강화 대책에도 ESS 화재…원인 특정하지 못해 더 불안
  • 서창완 기자
  • 승인 2019.09.25 17: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년 동안 화재 25건. 안전강화 대책에도 연달아 발생
움츠러든 ESS업계, 업계는 ‘한숨’
24일 오전 11시 29분께 강원 평창군 미탄면 평안리 풍력발전소 발전실에서 불이 나 불길이 치솟고 있다. [사진=강원소방본부]
24일 오전 11시 29분께 강원 평창군 미탄면 평안리 풍력발전소 발전실에서 불이 나 불길이 치솟고 있다. [사진=강원소방본부]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가 또다시 발생했다. 지난 6월 정부가 5개월 동안의 조사를 거쳐 안전강화 대책을 발표한 지 3개월 만에 벌써 두 번째다.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임에도 정부 대책 마련이 미흡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연이은 화재에 ESS 업계 한숨도 깊어지고 있다. 

24일 강원 평창군 미탄면 평안리 풍력발전소 ESS 발전실에서 난 불이 2시간 30여분 만에 꺼졌다. 이 불로 리튬이온배터리 설비동과 전력변환장치(PCS) 1개가 타는 등 발전실 414㎡가 모두 탔다. 화재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업계에서는 이번 화재 발생에 얼마 전 태풍이 지나간 데 따른 침수 등이 영향을 끼쳤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틀 전 소멸한 제17호 태풍 '타파'는 강원 지역을 관통하면서 평창에도 피해를 입혔다. ESS가 있는 곳이 가건물로 돼 있었다는 점 때문에 시공상 문제가 있었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2016년 말인 설치년도 등을 따져 봤을 때 열화에 의한 화재가 있었다는 추측도 나온다.

이번에 화재가 난 ESS는 야간에 풍력발전기가 생산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오후 시간대 방전해 전력이용에 도움을 주는 설비다. 2017년부터 ESS 보급이 확대돼 지난해에만 947개 사업장(약 3.6GWh)이 늘어났다.

문제는 급격히 늘어난 ESS 숫자만큼 화재 발생도 많아졌는데 정확한 원인이 밝혀진 바 없다는 데 있다. 민관 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는 지난 6월 배터리 자체의 결함보다는 보호·운영·관리상의 문제가 영향을 미쳤다고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복합 원인’이란 뜻인데 정부가 좀 더 책임감 있게 결론을 이끌어 내야 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정부의 안전대책 발표가 난 뒤에도 화재가 계속 발생한다는 건 원인을 추적해 대책을 마련하는 게 잘 되지 않았다는 것”이라며 “종합 원인이라는 게 너무 추상적이고 정부가 좀 더 책임감을 갖고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ESS 화재 사고가 한 달 만에 또다시 발생하면서 국내 ESS 업계도 잔뜩 움츠러들 수밖에 없게 됐다. 정부는 사상사고 발생을 우려해 다중이용시설 ESS에 대한 전면 가동중단 조치를 내린 바 있다.

아직 일부 설비가 재가동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 충남 예산 태양광 ESS 화재가 ‘충전율 상향’이었다는 점도 ESS업계로서는 달갑지 않다. 충전율을 낮추게 되면 수익이 낮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안전강화 대책을 추진하는 과정인 데다 사고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은 만큼 대책이 미흡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며 “충전율 상향에 대해서는 여러 이견이 있는 만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창완 기자  science@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