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건너뛰고 QR코드로' 중국, 모바일 결제 이용률 한국의 '3배'... 스마트폰 보급률선 한국이 앞서
상태바
'카드 건너뛰고 QR코드로' 중국, 모바일 결제 이용률 한국의 '3배'... 스마트폰 보급률선 한국이 앞서
  • 양도웅 기자
  • 승인 2019.09.23 09: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무역협회, '제3자 모바일 결제 시장 한-중 비교 및 시사점' 발표
중국의 모바일 결제 이용률의 한국의 3배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 연합뉴스]
중국의 모바일 결제 이용률이 한국의 3배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 연합뉴스]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중국의 1.4배이지만 모바일 결제 이용률은 중국이 3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불카드와 신용카드 보급에 나서기보다는 QR코드 등을 활용한 결제 시스템 구축으로 직행한 중국의 성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가 23일 발표한 ‘제3자 모바일 결제 시장 한-중 비교 및 시사점’에 따르면 한국과 중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94.1%와 69%로 한국이 높았지만 모바일 결제 이용률은 한국 26.1%, 중국 71.4%로 중국이 압도했다. 

중국 내 모바일 결제 이용액도 2014년 6조 위안에서 작년에는 190조5000억 위안으로 4년 새 약 32배 커졌다.

중국 모바일 결제 시장은 알리페이와 위챗페이가 편리성, 범용성, 낮은 수수료를 무기로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중국이 모바일 결제 이용률에서 한국을 앞서는건 신용카드와 직불카드 보급률을 높이기보다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구축으로 '직행'했기 때문이다. 중국의 신용카드 보급률은 한국, 미국 등에 비해 왜소하며 직불카드는 거의 미미한 수준이다.

신용카드와 직불카드는 SMS 메시지, USB 메모리, OTP와 같은 번거로운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알리페이와 위챗페이 등은 스마트폰이나 점포에 설치된 POS 터미널에 QR코드만 스캔하면 되는 것도 장점이다.

중국은 이처럼 특정 단말기가 필요 없는 QR코드 방식으로 가맹점 비용 부담과 소비자 진입장벽을 낮췄고 신용카드보다 낮은 수수료로 시장을 확대했다. 

모바일 결제 시장의 성장은 인터넷 쇼핑과 차량 공유, 음식 배달 등 서비스 O2O(Online-to-Offline) 시장의 폭발적인 확대로 이어졌다.

반면 한국은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페이코 등 공급자별 이용방식이 달라 모바일 결제 수요 창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소비자와 판매자들은 공급자별 특정 앱을 이용해야 하거나 단말기를 보유해야 하며, 특정 가맹점에서만 이용 가능한 경우도 있어 중국의 편의성과 범용성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신용카드의 높은 보급률, 낮은 수수료, 많은 가맹점 수 등도 모바일 결제 수요 확대를 더디게 하고 있다.

무역협회 심준석 상하이지부장은 “모바일 결제 서비스는 이용자 편리성 확대는 물론 핀테크 산업의 발전까지 촉진시키는 장점이 있다”며 “한국은 중국의 QR코드 모델을 따라가기보다는 신용카드의 높은 보급률에 기반한 모바일 신용결제 서비스 등의 비즈니스 모델을 적극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도웅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