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층 위협’ 할론소화기, 여전히 판매? 재사용이라지만…
상태바
‘오존층 위협’ 할론소화기, 여전히 판매? 재사용이라지만…
  • 서창완 기자
  • 승인 2019.09.04 09: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론가스, 2010년부터 국내서 생산·판매 금지… 기존 시설물서 일부 재사용
대체 약제 HFC 계열도 점차 규제 대상… 청정 약제 개발 필요
소화기 성능 시험. [사진=경기도청]
소화기 성능 시험. [사진=경기도청]

할론(Halon)가스는 프레온가스와 함께 오존층 파괴 물질로 밝혀져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 채택 당시 규제 대상 물질이 됐다. 국내에서는 2010년부터 생산·판매가 금지됐다. 무색투명한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할론가스는 일시 방출되면 산소 결핍 증세로 실신까지 일으킬 수 있다. 환경·안전성을 따져 보면 대체해야 할 물질임에도 뛰어난 소화 능력과 경제성 탓에 할론가스 시스템이 남아 있는 시설이 적지 않다. 할론가스를 확실히 추적 관리하고, 청정 약제 개발에 보다 힘써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지난해 국립중앙박물관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할론소화기 등이 설치된 박물관·미술관은 40% 수준이다. 할론소화기는 전자 설비에 사용할 수 있고, 약제 잔재물이 남지 않는 점에서 박물관·미술관 등에서 주로 사용한다. 지난해 기준 문체부 소속 23개 기관 중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등 74%인 17개 기관이 할론 가스시스템(할론가스 소화기 포함)을 사용하고 있다.

문제는 해당 물질이 규제 대상 물질이라는 점이다. 소화 약제로 뛰어나지만, 오존층 파괴와 인체에 끼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게 국제적 판단이다. 실제 1989년 1월 발효된 몬트리올 의정서에는 현재 200개국 가까이 참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돼 2010년부터 전면 금지 조치를 받았다. 몬트리올 의정서가 채택되고 나서도 20년 넘는 시간이 있었던 셈이다.

시중에는 여전히 일부 할론소화기가 판매된다. ‘소화능력 최강’이라는 수식어도 붙었다. 금지 약제인 할론 1211이나 할론 1301 물질을 재사용해 만든 제품이다. 기존 할론 가스 시스템 설비에서 회수된 가스를 이용한다.

소방청 소방산업과 관계자는 “2010년부터 생산은 전면 금지됐는데 할론가스를 쓰던 설비나 제품들을 일제히 폐기하면 기존 시설물 가동이 힘든 이유 등 때문에 점진적으로 사라지도록 유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할론가스의 회수와 재설치는 할론뱅크사업을 통해 정부 주도로 펼쳐진다. 2010년 할론가스 생산·판매가 금지된 시점부터 지속됐다. 점진적 대체 시스템을 채택했다지만, 할론가스가 얼마나 존재하는지 추적 관리는 되고 있지 않은 형편이다. 할론 비축분에 대한 재사용과 활용이 국제적으로 통용됐다고 하더라도 아쉬운 부분이다.

소화기 업계 관계자는 “전산이 발달한 지금과는 달리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수기 등으로 시스템을 관리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잔존량을 측정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공개된 ‘할론 판매실적과 보유량’을 비교해 봐도 수치는 딱 떨어지지 않는다. 3개월씩의 고시기간마다 공개되는 ‘할론 보유량’에 ‘회수 할론’을 더한 뒤 ‘할론판매실적’을 뺀 수치가 다음 고시 기간 ‘할론 보유량’과 일치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할론 소화기의 대체품은 수소불화탄소(HFC)와 수소염화불화탄소(HCFC)로 만든다. 국내에서는 HCFC-123 소화기가 시중에 가장 많이 유통돼 있다. 가격이 할론소화기보다 절반 정도 저렴한 데다 청정소화기로 알려지면서 가스소화약제 소화기 가운데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다만 해당 대체품 역시 안전성과 환경 측면에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는 대체제로 쓰이고 있는 HFC도 점차 줄여나가려는 흐름이다. 우리나라 역시 2024년에 소비를 동결하고, 2045년까지 2024년 대비 80%까지 감축하는 의무를 지게 된다. 할론소화기를 비롯한 가스식 소화기 전반의 대체 약제 찾기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필요성이 있어 보이는 이유다.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관계자는 “소방 관점에서만 보면 상당히 뛰어난 약제인 만큼 기존 할론 약제를 한 번에 없애기에는 아쉬운 부분이 있다”며 “규제가 갈수록 강화되는 만큼 차세대 소화 약제 개발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서창완 기자  science@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