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불화수소 수출 규제 후 첫 허가 '스텔라 생산, 삼성 납품'...업계 "화해국면은 시기상조"
상태바
일본, 불화수소 수출 규제 후 첫 허가 '스텔라 생산, 삼성 납품'...업계 "화해국면은 시기상조"
  • 정두용 기자
  • 승인 2019.08.30 1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일본 정부가 한국 기업과 정부의 반응 체크해보고자 이번 수출 허가 내린 것"
- 스텔라가 생산한 불화수소로, 솔브레인이 수입해 삼성전자에 납품 물량
- 정부, "일희일비할 사안이 아니야...수출 규제 전면 폐지해야"

일본 정부가 한국을 대상으로 한 수출규제 시행 이후 처음으로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의 수출을 허가한 것으로 30일 확인됐다.

그간 강경 대립을 고수해온 일본 정부가 이번 수출을 허가한 이면과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이 일본 정부가 수출을 허가한 대상은 스텔라가 생산한 불화수소로, 솔브레인이 수입해 삼성전자에 납품하는 물량으로 파악됐다.

반도체업계에 정통한 대기업 관계자는 녹색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일본 정부의 이 같은 조처를 화해국면으로 받아드리는 것은 시기상조”라면서 “실무진들 사이에선 일본 정부가 한국 기업과 정부의 반응 체크해보고자 이번 수출 허가를 내린 것이라는 의견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가 한국을 대상으로 한 수출규제 시행 이후 처음으로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의 수출을 허가한 것으로 30일 확인됐다.
일본 정부가 한국을 대상으로 한 수출규제 시행 이후 처음으로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의 수출을 허가한 것으로 30일 확인됐다.

일본 정부는 극자외선(EUV)용 포토레지스트는 이달 들어 두 차례 수출을 승인했다. 지난 7일과 19일에 해당 품목의 수출을 각각 허가했다.

그러나 불화수소는 “군사용도로 전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그간 주된 수출 규제 강화의 근거로 삼았다.

불화수소는 반도체 주요 공정 중 식각과 세정 작업에 쓰이는 소재다. 불필요한 회로를 깎거나 불순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수출 허가 신청 시기는 일본이 수출 규제에 들어간 지난달 4일 전후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정확한 수출물량과 순도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불화수소가 수입되면서, 최장 90일의 개별허가 심사 대상인 3대 품목 가운데 플루오린 폴리이미드만 아직 수출 허가가 나지 않은 상태다.

일본 경제산업성이 수출 승인 낸 이유는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일본 당국은 해당 사실의 확인 요청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오늘 일본이 불화수소 가스 수출 한건을 허가한 사실을 업계에서 확인했다"고 전했다.

우리 정부는 ‘일희일비’할 사안이 아니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가 수출 규제를 무조건 철회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상황에 흔들리지 않겠다는 의도인 셈이다.

업계 일각에선 일본 내부에서 소재 제조사들이 정부에 승인을 촉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국내 반도체 기업들이 일본산 불화수소 대체방안을 찾고 있고, 일부 성과가 나오기 시작했다. 일본 제조사 입장에선 주요 거래선을 놓칠 수 있는 위기의 상황인 셈이다.

삼성전자가 솔브레인의 액체 불화수소 추가 생산분을 본격적으로 반도체 공정에 투입한다. 사진은 반도체 생산라인에서 한 직원이 업무를 보고 있는 모습. [삼성전자 뉴스룸 캡처]
반도체 생산라인에서 한 직원이 업무를 보고 있는 모습. [삼성전자 뉴스룸 캡처]

실제로 일본 제조사의 피해가 가시화되기 시작했다.

일본에서 지난 7월 한 달간 한국으로 수출된 고순도 불화수소는 전월과 비교해 80%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규제 영향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일본 재무성이 발표한 7월 품목별 무역통계에 따르면, 반도체 세정 공정에 사용하는 불화수소의 지난달 한국 수출량은 479t으로, 전월 대비 83.7%가 급감했다.

거래 금액 역시 6월 4억엔(약 41억원)에서 7월 1억 9천만엔으로(약 2억원) 32.6% 감소했다.

NHK은 일본 재무성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해 "수출량이 급격히 감소한 것은 분명하지만 통계를 통해 그 이유까지는 알 수 없다"며 "포토 레지스트와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은 여러 품목으로 분리되어 있어 무역통계를 통한 수출량을 파악하기 어렵다"고 보도했다.

정두용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