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대피소, 2022년부터 무인화 ‘대피 기능 강화’
상태바
국립공원 대피소, 2022년부터 무인화 ‘대피 기능 강화’
  • 서창완 기자
  • 승인 2019.08.26 10: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창현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신창현 의원실]
신창현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신창현 의원실]

국립공원 대피소가 본래 목적인 ‘대피’ 기능에 충실해진다. 또, 국립공원 정상 중심의 주능선 산행으로 인한 생태계 훼손을 막기 위해 탐방예약제 확대가 추진된다.

신창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2019년 현재 국립공원 내 6개 국립공원에 20개 대피소가 있다. 이들 대피소는 그동안 ‘대피’라는 본래의 목적보다는 ‘휴양·편익시설’로 분류돼 숙박시설과 매점으로 운영돼 왔다.

또 대피소의 면적과 수용인원이 과다해 핵심보호지역인 ‘자연보존지구 내 허용하는 최소한의 공원시설’을 규정한 자연공원법의 취지에 위배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환경부는 대피소의 본래 취지에 맞게 ‘휴양·편익시설’에서 ‘보호·안전시설’로 재분류할 방침이다. 또 담요 대여와 물품 판매는 점진적 축소 후 폐지한다. 앞으로는 응급구호물품만 비치해 비상시 무상지급 할 예정이다.

대피소 무인화도 추진한다. 기존의 유인대피소(공원별 1개소)는 1~2년 시범운영(지리산 피아골, 설악산 양폭 등)을 거친 뒤 2022년부터 무인화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또 18개 구간(총 79.4km)에서 연간 165만여 명이 이용하는 탐방예약제 구간을 내년까지 22개 구간으로 4개 더 확대할 예정이다. 우선 올해 12월까지 탐방객이 많은 지리산·설악산 국립공원 대피소 연결구간 중 각 1개구간을 선정해 시범 운영한 enl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지리산은 거림 탐방지원센터에서 세석대피소까지 6km 구간, 설악산은 한계령 탐방지원센터에서 중청대피소까지 7.7km 구간이 시범운영 후보구간으로 선정됐다. 시범운영 기간에는 주능선별 수용력 분석, 탐방객수와 훼손정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해외사례 검토, 의견수렴 등의 절차가 수행될 예정이다.

신 의원은 “안전을 위해 설치한 대피소가 숙박시설로 변질돼 국립공원 훼손의 주범이 되고 있다”며 “대피소 무인화와 탐방예약제는 국립공원을 국립공원답게 하는 필요조건”이라고 강조했다.

서창완 기자  science@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