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F·DLS 쇼크'에 우리금융, 사태 장기화 촉각
상태바
'DLF·DLS 쇼크'에 우리금융, 사태 장기화 촉각
  • 김유진 기자
  • 승인 2019.08.21 20: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공적인 지주 체제 전환에 공격적 M&A로 순항 중 DLF·DLS 사태 돌발변수 발생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DLF·DLS) 불완전판매 논란으로 우리은행이 홍역을 치르고 있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해외금리 연계형 DLF·DLS의 판매잔액은 지난 7일 기준 총 8224억원으로 우리은행이 판매한 비중은 48.8%(4012억원)이다. KEB하나은행도 47.1%(3876억원)로 우리은행과 맞먹는 수준이다.

문제는 우리은행의 경우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 연계형 DLS 상품을 주로 판매했다는 점이다. 해당 상품은 지난 7일 기준 판매잔액 전체가 손실구간에 진입해 대규모 원금 손실이 확실시되고 있다. 총 판매잔액 1266억원 중 1255억원(99.1%)은 우리은행이 판매했다.

금감원은 이번주 중 DLF·DLS 판매비중이 높은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등 은행 부문에 대해 합동조사를 진행하고 불완전판매 여부와 상품 설계 과정 등을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금융권에서는 이들 은행이 증권사의 상품 설계 과정에 개입했는지, 경영진 차원에서 실적을 올리기 위해 불완전판매를 종용한 사실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경영진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금감원은 ”구조가 복잡하고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는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이 금융회사를 통해 다수의 개인 투자자들에게 판매됐다“며 ”상품 설계부터 판매에 이르게 된 전 과정을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리금융은 뜻하지 않은 암초를 만나게 됐다. 올해들어 지주 체제 전환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데다 상반기에 순이익 1조1790억원을 달성하며 경상 기준 사상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또 공격적인 인수·합병 전략으로 지주 출범 후 짧은 시간에 비은행부문 사업포트폴리오를 강화하는 데 성공했다. 우리금융은 지난 4월 동양자산운용과 ABL자산운용 등 운용사를 인수했고 지난달에는 국제자산신탁 회장과 경영권 지분 인수를 위한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이와같은 상황에서 DLF·DLS 사태가 돌발변수로 작용하게 됐다. 국감원의 조사뿐 아니라 피해자들의 집단소송도 추진되고 있어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고객도 잃고 실적에도 타격이 있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소비자원은 DLF·DLS 투자자들을 모아 전액 배상을 요구하는 소비자 공동소송을 추진할 예정이고 법무법인 한누리도 손해배상 청구소송에 참여할 투자자들을 모집해 다음달 소장을 접수할 계획이다.

 

 

김유진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