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먼 왜소신성 찾았다…지구에서 2만4000광년
상태바
가장 먼 왜소신성 찾았다…지구에서 2만4000광년
  • 정종오 기자
  • 승인 2019.08.20 17: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연구팀,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통해 발견
[사진=한국천문연구원]
[사진=한국천문연구원]

 

김상철 한국천문연구원 박사가 주도하는 초신성 탐사 관측 연구팀이 20일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을 이용한 초신성 탐사(survey) 관측 중 이제까지 발견된 왜소신성보다 거리가 가장 멀고 우리은하 헤일로에 존재하는 왜소신성을 발견했다. 헤일로는 우리 은하의 구성성분 중 하나로 은하 전체를 감싸듯이 구형으로 분포하고 있는 구름을 말한다.

우주 속 별의 절반 이상은 두 개 이상이 함께 존재한다. 태양처럼 혼자 존재하는 경우는 드물다. 별의 진화 연구에는 혼자 있는 별보다 둘 또는 여럿이 존재하며 상호작용을 주고받는 사례가 더 유용하다. 쌍성계의 한 별이 동반성으로부터 빛을 만들 수 있는 물질을 재공급받으면 별이 갑자기 밝아진다. 이런 별을 신성(新星, nova)이라 부른다. 밝아지는 정도가 신성보다 낮으면 왜소신성, 훨씬 크면 초신성이 된다.

왜소신성은 신성이나 초신성에 비해 덜 밝아 가까운 거리에 있어야 발견이 쉽다. 이제까지 알려진 왜소신성들은 대부분 지구로부터의 거리가 3000광년보다 가까운 태양계 부근에서 발견됐다. 이들은 우리 은하의 세 구성성분인 원반, 중앙 팽대부, 헤일로 중 원반에 속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한국천문연구원 연구팀이 발견한 왜소신성 ‘KSP-OT-201611a’는 거리가 우리 은하 중심으로부터 약 4만5000광년(지구에서 약 2만4000광년)이고 우리 은하 평면에서 5500광년이나 떨어져 있다.

헤일로는 원반이나 팽대부보다 넓은 영역에 퍼져 있는데 천체가 많지 않고 대부분 어둡고 멀기 때문에 연구하기 어렵다. 암흑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것으로 여겨져 중요한 성분으로 꼽힌다. 주로 구상성단이나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 행성상 성운 등으로 연구했는데 이번처럼 헤일로에서 발견되는 왜소신성의 수가 늘어난다면 헤일로를 연구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를 찾은 셈이 된다.

이번 연구를 이끈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이영대 박사는 “우리은하 헤일로 천체 관측이 쉽지 않은데 헤일로를 연구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를 찾아 기쁘다”며 “이 연구는 24시간 연속 관측이 가능한 KMTNet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대표적 경우”라고 전했다.

김상철 박사는 “망원경의 시간을 막대하게 투자해야 하는 탐사 관측은 목적했던 바를 이룰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전혀 예상하지 못한 새로운 발견도 가능케 한다”며 “초신성을 관측하던 중 이 특별한 왜소신성을 발견한 것처럼 앞으로 KMTNet을 이용한 초신성 탐사 관측이 또 어떤 새로운 흥분을 가져다줄지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종오 기자  science@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