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방문 ‘미즈호파이낸셜그룹’ 회장, "자금 회수 걱정하지 말라"했지만...
상태바
韓 방문 ‘미즈호파이낸셜그룹’ 회장, "자금 회수 걱정하지 말라"했지만...
  • 황동현 기자
  • 승인 2019.08.05 2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소다로(麻生太郞) 부총리,"한국에 돈 빌려주면 못받을 수도" 과거 발언 주목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왼쪽)와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 겸 재무상 (사진=녹색경제신문DB)

최근 일본 미즈호파이낸셜그룹 회장이 한국을 방문해 대기업 총수를 만나 한국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4일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미즈호파이낸셜그룹의 사토 야스히로 회장이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배제하는 결정을 내리기 직전인 지난달 말 한국을 방문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만났다.

금융권 관계자는 “사토 회장이 두 총수에게 ‘걱정하지 말라’는 이야기를 했다”며 “한국기업은 금리가 낮은 일본 자금을 쓰는 것이 유리하고, 일본(금융회사) 입장에서는 한국처럼 성장 가능성과 신뢰가 높은 국가가 이익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비록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배제하는 결정을 내리기 직전의 방한이었지만 사토 회장은 이러한 양국 갈등이 금융권으로까지 확대되지 않을 것임을 알리기 위해서 방한한 것으로 보인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도 지난달 일본 출장 기간에 일본의 대형 금융회사 고위 관계자들을 면담한 것으로 일본 언론에 보도됐다. 부품‧소재 확보 못지 않게 일본 금융회사의 회사채 지급보증 같은 신용공여가 삼성전자에는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 롯데 신동빈 회장의 방일시 차례대로 일본 주요금융 기관 관계들과 접촉했던 것은 차입금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롯데 그룹에 따르면 신 회장은 매년 일본 롯데 홀딩스 주주 총회 이후 일본 금융 기관의 관계자를 만나 설명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롯데 그룹은 일본 금융권을 통한 차입금의 비율이 높고, 일본 금융계의 움직임에 특히 민감하다. 

앞서, 지난 3월 아소다로(麻生太郞)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은 한국에 대한 보복조치와 관련해 "관세에 한정하지 않고 송금의 정지, 비자의 발급 정지라든지 여러 보복 조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아소다로 부총리는 2년전 "통화스와프로 한국에 돈 빌려주면 못받을 수도"있다고 말한 대표적인 극우의 정치인이자 아베내각의 2인자다. 당시 우리나라 외교부는 아소다로 부총리의 통화스와프 '망언'에 유감을 표명했었다. 그는 한국은 믿을 수 없는 나라라는 것을 공공연히 주장하고 있는 정치인이다. 

지난 1997년 일본계 금융회사들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 한국으로 흘러간 자금을 회수해 위기 상황을 악화시켰다. 일본 단자회사들이 빌려달라는 자금을 끝내 중단한 것이 촉매제가 돼 다른 외국계 은행들도 자금공여를 중단했다.

당시 국내 대출 시장에서 외국계 자금의 40%가 일본계 금융회사였을 만큼, 일본 영향력은 컸고, 일본 은행들은 3월말 결산이 다가오자 한국 대출을 회수해 결국 한국 은행들이 외화유동성에 문제가 있다는 소문으로 확산돼 외화 도미노 유출을 촉발했다.

당시 은행들이 외화를 단기로 조달해 중장기 원화 대출로 활용하면서, 외화자산과 부채 만기가 일치하지 않는 등 자금운용의 취약성이 심각했던 것이 약점이었다.

최근 우리나라 은행들은 초단기 외화유출에 대비한 ‘외화유동성 커버리지비율(LCR)’을 ‘의무’기준으로 준수하고 있다.

아직까지 일본은행 국내지점의 회수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일본계 은행 국내지점의 총 여신 규모는 5월말 기준으로 24조 7000억원으로 지난 3월 말에 비해서 2조 8000억원 증가했다.

특히 일본 대형금융그룹 회장이 직접 나서서 금융 거래를 흔들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것은 한국 금융당국의 입장과도 궤를 같이 하고 있다. 

앞서 금융위는 줄곧 일본이 금융관련 보복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설사 조치가 나오더라도 별 영향이 없다고 강조해왔다. 글로벌 유동성과 한국 경제의 건전성을 고려하면 일본 자금이 회수되더라도, 다른 나라에서 얼마든지 구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번에도 일본계 금융공기업, 금융회사들이 자금의 만기 연장이나 신규 대출 거부, 대출심사강화, 여신한도 축소, 대출금 조기상환 등으로 압박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일각에서는 일본의 수출 규제가 금융권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일본계 은행이 국내 기업이나 금융권 만기 연장을 해주지 않고 대출을 회수한다면 충격이 작지 않을 것이란 이야기다. 

또, 한국은 수출 의존형 국가이므로, 강한 타격을 주기 위해 한국계 기업과의 신용장거래 같은 외환거래 제한 루머도 현지SNS를 통해 퍼지고 있다. 송금, 수입 신용장발급 중단, 네고 한도 축소 등의 조치를 말한다.

비단 극우 인사들로 구성된 아베 내각 뿐만 아니라 특히, 일본 최대금융그룹인 미쓰비시UFJ그룹은 이번 대법원 징용공 판결의 피고회사로 전범기업인 미쓰비시중공업의 금융계열사다. 일본은 금산분리가 적용되지 않고 재벌들이 거대금융그룹을 지배하고 있으며, 민간 금융회사들은 일본정부의 지시없이도 자체 가이드로 언제든지 한국기업에 불리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일본 정부나 공기업차원에서 한국계 기업에 대한 수출입거래나 신용을 줄이거나 끊으라는 지시를 보란듯이 시행하기에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민간금융회사들은 언제든지 다르게 움직일 수 있다. 

 

 

황동현 기자  financia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