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0년의 과제
상태바
광복 70년의 과제
  • 조원영
  • 승인 2015.08.04 15: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의경                신산업경영원장

해마다 8월이면 해방의 감격이 용솟음친다. 아직도 70년 전 다시 빛을 찾은 한민족의 아우성이 생생하게 기억되는 사람들이 많이 살아 있다.

그만큼 광복은 일제 식민지 치하의 굴레를 벗어났다는 사실 외에 한국인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확인하는 절대적 기회가 되었다. 그런데 그 후 70년 동안 우리가 걸어 온 길은 실로 가시밭길을 방불케 하는 것들이었다. 6?25동란, 그리고 혁명과 정변들이 이어졌다.

그런 속에서도 공업화와 수출산업화를 이룩하였고, 이같은 압축 성장을 통해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달러를 육박하게 되었다.

거의 같은 기간 나란히 민주주의를 쟁취하려는 운동이 끊임없이 이어졌으며, 이제는 산업화와 민주화를 토대로 세계화까지 실현하게 되었다. 아울러 지방자치제도 실현함으로써 명실상부한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사회에서 풍요를 누리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 분단 사태는 70년 동안 변함이 없다. 1950년 동란으로 150여만 명의 사상자를 내고도 여전히 남북은 그 자리에 경계선을 긋고 살아 왔다. 그 것도 지구 상에 유일하게 공산주의 체제를 고집하는 북한과 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를 유지하는 남한이 공존하고 있는 것이다.

그 사이 경제력, 군사력 우위가 남쪽으로 기울었으나 북한이 핵무기, 미사일 개발로 비대칭 전력을 확보해 가며 기묘하게도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지난 70년 동안 아슬아슬하게 가슴 조이면서도 한반도에서 전쟁은 일어나지 않았다.

통일문제 전문가들은 이제 남한이 능동적으로 공격하지 않는 한 한반도에서 전쟁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북한 독재 정권이 아무리 협박을 한다 치더라도 그들 스스로가 전쟁을 할 수 없을 정도로 힘의 격차가 굳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반도는 여전히 세계의 화약고로 주목 대상이 되고 있다. 북한의 핵무장이 그렇고, 또 지정학적으로 미국?일본?중국?러시아 등 네 강국의 이익이 충돌하는 지역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같은 사강(四强) 가운데서 안전하게 살기 위해서는 유럽의 오스트리아와 같이 영세중립국 체제로 가야 한다는 일부 주장이 있있으나, 또 뒤집어 생각하면 그렇기 때문에 주변 강대국들의 이해관계를 잘 이용함으로써 자주?자립 국가를 만들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이제는 통일된 단일 국가를 목표로 우리의 외교정치적 위상을 본격적으로 높여야 할 때다.

한국이 인구 5천만 명 이상의 개인소득 3만 달러를 누리는 세계 7대 국가에 포함된다고 하지만 아직도 한국의 경제 규모나 외교적 역량이 G7의 경지에 이르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다.

한국이 명실상부하게 세계를 리드하는 강국들 속에 참여하려면 물적 규모보다도 정신적 ? 문화적 강점을 살려 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국은 오랜 문화적 전통이 있고 그 배경에서 세계 보편 종교인 천주교를 자생적으로 일으킨 나라이기도 하다. 그만큼 문화?철학의 발전 가능성이 높은 나라인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광복 70년 이후의 국가 발전을 위해서는 그 동안 나라를 세우고 산업화, 민주화를 리드한 지도자들을 재조명하고 한국인의 정체성(Identity)을 확립해야하겠다.

돌이켜 보면 정치 지도자들이 예외 없이 비판받고 낙인이 찍혀 온 묘한 나라이기도 하다. 그러나 다시 살펴 보면 이러한 지도자로 인해 자유국가를 만들었고 수천 년의 가난을 극복했으며 민주주의가 충만한 국가 사회를 건설했다는 점에서 이들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

특히 건국 대통령 이승만 박사의 재평가야말로 광복 70년을 맞아 본격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박사는 노년에 사람의 장벽에 둘러 싸여 정치의 균형을 잃었고, 그래서 망명지 하와이에서 숨졌다. 그러나 그는 독립 전후 국제 정치 무대에서 대한민국의 진로를 바로 잡았으며, 토지개혁 등 민본(民本) 정치를 했고, 무엇보다도 국가의 안보를 굳건히 했다. 건국의 아버지로 손색이 없는 지도자다.

조원영  jwycp@hanmail.net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