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탄소 절감하는 ‘탄소제로건물’ 탄생, 국립환경과학원
상태바
스스로 탄소 절감하는 ‘탄소제로건물’ 탄생, 국립환경과학원
  • 정우택
  • 승인 2011.04.24 06: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연에너지 및 슈퍼단열 등으로 탄소배출 제로화 구현

'저탄소 녹색성장’의 실증모델이 될 탄소제로 건물이 준공돼 관심을 끌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이 태양열, 태양광, 지열 등의 자연에너지와 슈퍼단열·창호 등 총 66가지 기술을 사용해,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 탄소제로건물(기후변화연구동)이 준공됐다. 준공식에는공식은 환경부장관, 녹색성장위원회위원장, 주한 외교사절, COP18 유치위원 등이 참석했다.

 탄소제로건물은 슈퍼단열, 슈퍼창호 등 건물 에너지부하 절감기술(Passive)로 총 에너지의 40%를 절감하고, 태양열·광, 지열의 자연에너지 기술(Active)로 60%를 절감하여 탄소배출 제로화를 구현하였다.

환경과학원은  건물을 남향으로 배치하고, 단열 강화를 위해 지붕·벽·바닥에 125mm 단열재(일반건물 60~80mm),
방습층 설치 및 아르곤가스가 들어간 3중 로이(Low-e) 유리를 적용하였다.

 
탄소제로건물에 사용된  자연에너지는 태양광(전기 공급), 태양열·지열(냉·난방 공급)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양열과 지열이 상호 보완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Hybrid system)을 적용하여 열에너지 대한 공급 효율을 높였다.

 또 그린에너지 관리 시스템(Green Energy Management System, GEMS)을 구축하여, 전력의 낭비 요인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서 최적화된 에너지 사용이 가능하도록 했다.

환경과학원은  위의 기술들을 종합적으로 적용한 탄소제로건물에서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은 연간 100 CO2·ton
으로 추정되며, 건축물 수명을 30년으로 가정하면, 3000 CO2·ton 감축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참고로 100 CO2·ton은 2000CC 쏘나타 기준으로 서울과 부산을 500회 왕복할 때 나오는 탄소량이다.

 탄소제로건물에 적용된 총 66가지 기술 중 국내기술이 62종, 외국기술 4종으로서 대부분의 기술은 국내기술로 건축되었다. 이 건물의 핵심기술인 태양광, 태양열, 지열은 100% 국내기술을 이용하였다.

 외국 기술이 적용된 분야는 자연채광, 외부 블라인드, 플로우 스탠드, 마이크로루버의 4가지로 아직 국산 기술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산기술 비용은 총 사업비(89억) 중 2%인 1.8억이 소요되었다. 탄소제로건물의 공사비는 355만원/㎡으로 특수목적(연구·전시 및 관람) 일반건물 공사비(262만원/㎡) 대비 약 1.4배(93만원/㎡) 더 소요되었다.

환경과학원은 탄소제로건물의 에너지절감 및 자연에너지 이용에 따른 연간 절감 비용은 약 102백만원인 것으로 추정했다.

 일반건물 대비 추가비용에 대한 손익분기점은 22.8년으로 추정되었으며, 건축물 수명을 30년으로 가정하면, 투자비 회수기간 이후의 수익은 734백만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일반건물의 전력 및 열에너지 사용비용, 자연에너지의 기술발전, 온실가스 감축 이익 등을 고려하면 건물의 손익분기점은 더 줄어들 수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국민들이 탄소제로건물의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본 건물을 홍보 및 교육에 활용하게 되면 탄소제로건물의 확대·보급에 크게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우택 기자

정우택  cwtgreen@naver.com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