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 www.keri.org, 원장 최병일)은 12월 5일 여의도 신축 전경련회관(FKI타워) 컨퍼런스센터 3층 중회의실에서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CSR): 현황 및 바람직한 정부역할 모색>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또한 윤 위원은 CSR에 대한 과도한 외부압력은 오히려 기업의 자발적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동기를 감소시키고 효과를 떨어뜨려 사회적 이익의 극대화를 가로막는다고 지적했다. 한편 윤 위원은 기업의 사회공헌을 위한 정부의 역할에 대해서는 CSR의 강제적 시행요구가 아니라, 사회구성원들이 자발적인 절충을 통해 상호간 이익을 실현하고 후생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하는 것임을 깨달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기업가들은 기꺼이 그들의 전략적 자원을 잠재적 경쟁자들과 공유하고자 하고 그 과정에서 공유가치창출(CSV, Creating Shared Value)을 이뤄내 사회후생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소개하면서, 정부는 독점 행위를 막겠다는 의도로 산업을 규제하는 것이 공유가치 창출을 해치고, 의도적으로 강요된 CSR이 CSV를 저하시킬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녹색경제 gnomics@naver.com